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10년~2020년, 기후변화 인식과 대응

by 지구를 구하자 2025. 9. 15.

2010년~2020년, 기후변화 인식과 대응

2010년대는 기후변화가 더 이상 과학자나 전문가들만의 논의가 아니라, 전 세계 시민과 정부, 기업 모두가 직면한 현실적 문제로 자리 잡은 시기였습니다. 국제사회는 역사적인 합의를 통해 공동 대응 체제를 구축했으며, 과학계는 더욱 구체적이고 엄중한 경고를 내놓았습니다. 동시에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한 대중 운동이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, 기후위기는 정치·경제·사회 전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로 부상했습니다.


1. 파리협정(2015) – 새로운 전환점

  •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**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(COP21)**는 기후변화 대응사에 있어 획기적인 순간이었습니다.
  • 이 자리에서 채택된 **파리협정(Paris Agreement)**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2℃ 이하로 억제, 더 나아가 1.5℃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목표를 담았습니다.
  • 특히, 이전의 교토의정서가 선진국 위주로만 감축 의무를 부여했던 것과 달리, 파리협정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한 최초의 합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.
  • 각국은 자발적으로 **국가결정기여(NDC)**를 제출하고, 5년마다 목표를 강화해나가는 구조를 도입했습니다.
  • 이로써 기후변화 대응은 단순히 일부 국가의 책임에서 벗어나 ‘전 지구적 과제’로 공식화되었고, 국제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.

2. 과학적 경고의 강화 – 1.5℃ 특별보고서

  • 2018년, **IPCC(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)**는 전 세계에 충격을 준 **‘지구온난화 1.5℃ 특별보고서’**를 발표했습니다.
  • 보고서는 지구 평균 기온이 1.5℃와 2℃ 상승했을 때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했습니다. 단 0.5℃의 차이만으로도 수억 명이 추가적으로 홍수, 가뭄, 해수면 상승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고, 산호초 생태계의 90% 이상이 붕괴될 수 있다는 사실이 강조되었습니다.
  • 이 보고서는 “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는 시간은 이제 10년 남짓밖에 없다”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, 전 세계 시민과 정부에 긴박감을 각인시켰습니다.
  • 과학자들은 이 시기부터 탄소예산(Carbon Budget) 개념을 강조하며, 지구가 1.5℃를 넘지 않으려면 남은 탄소 배출 허용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는 사실을 수치로 제시했습니다.

3. 기후위기 담론의 확산과 사회적 체감

  • 2010년대 중반부터 ‘기후변화(Climate Change)’라는 용어 대신 ‘기후위기(Climate Crisis)’, 혹은 ‘기후붕괴(Climate Breakdown)’라는 표현이 점차 보편화되었습니다.
  • 폭염, 산불, 태풍, 가뭄, 한파 같은 극단적 기상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면서, 대중도 더 이상 기후위기를 먼 미래의 가능성이 아닌 지금 당장 피부로 느끼는 재난으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.
  • 실제로 2019년에는 유럽과 호주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해 인명과 재산 피해가 막대했고,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기록적인 산불이 이어졌습니다.
  • 언론과 학계는 이를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**기후변화로 인한 ‘새로운 일상’**이라고 지적했으며, 국제 사회는 기후위기를 사회적·윤리적 문제로 재정의하기 시작했습니다.
  • 기업들도 이에 발맞추어 ESG(Environmental, Social, Governance) 경영을 도입하며,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기업의 핵심 가치로 내세우기 시작했습니다.

4. 청년 세대와 시민사회의 행동 확대

  • 2018년, 스웨덴의 15세 소녀 **그레타 툰베리(Greta Thunberg)**가 스웨덴 의회 앞에서 시작한 **‘기후를 위한 학교 파업(Fridays for Future)’**은 세계적인 운동으로 확산되었습니다.
  • 단 한 사람의 작은 행동은 곧 전 세계 청년과 학생들의 집단적인 시위로 번졌고, 2019년에는 수백만 명이 동참한 **‘지구 기후 파업(Global Climate Strike)’**이 펼쳐졌습니다.
  • 이 운동은 정치 지도자들에게 기후변화 대응을 미룰 수 없다는 압박을 가했으며,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세대 간 정의(Intergenerational Justice) 문제로 격상시켰습니다.
  •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지의 청년 단체들은 정부에 ‘기후비상사태 선언’을 요구했고, 실제로 수많은 국가와 지방정부가 이를 공식 선언하게 만들었습니다.
  • 이는 기후운동이 전문가 주도의 영역을 넘어 시민 중심, 특히 청년 세대가 주도하는 사회적 운동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줍니다.

5. 각국 정부와 기업의 대응

  • **유럽연합(EU)**은 2019년 **‘유럽 그린딜(European Green Deal)’**을 발표하고, 2050년까지 탄소중립(넷 제로) 목표를 법제화하는 데 나섰습니다. 이는 세계 최초의 대규모 지역 차원의 탄소중립 정책이었습니다.
  •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 시절 파리협정에 합류했으나, 2017년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를 선언하면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습니다. 하지만 주 정부, 도시, 민간 기업들은 독자적으로 기후대응을 이어갔습니다.
  • 중국은 재생에너지 투자와 전기차 산업 육성에서 세계 1위로 올라섰으며, 2020년에는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했습니다.
  • 한국은 2020년, 문재인 정부가 공식적으로 ‘2050 탄소중립’을 선언하며 국제적 흐름에 합류했습니다. 이는 한국 사회 전반에서 기후위기를 국가적 과제로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.
  • 글로벌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100% 전환을 목표로 하는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기 시작했고, 애플·구글·마이크로소프트 같은 IT 기업들이 선도적으로 행동했습니다.

2010년~2020년대 정리

  • 대중적 관심도: 폭발적으로 확산. 기후위기는 정치, 경제, 사회 전 영역의 핵심 의제로 자리 잡았고, 특히 청년 세대의 목소리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함.
  • 국제 대응: 파리협정을 통해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체제가 출범. 유럽, 아시아, 북미에서 탄소중립 선언이 잇따름.
  • 과학적 경고: IPCC 1.5℃ 특별보고서로 인해 남은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사실이 전 세계적으로 공유됨.
  • 한계와 과제: 선언적 목표와 국제 협약은 많았지만,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은 여전히 늘어나는 추세였으며, 국가 간 책임 분담 갈등도 계속됨.

즉, 2010년대는 **“기후위기가 전 세계인의 일상으로 다가온 시기”**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적 합의와 시민사회의 움직임이 역사적으로 커졌지만, 실질적인 성과는 아직 부족했고, 이 과제가 2020년대의 주요한 도전으로 이어졌습니다.